자전거의 구성 – 자전거를 이루는 여섯 가지 줄기

초보자자전거의 구성 - 자전거를 이루는 여섯 가지 줄기
tit_02.jpg
자전거를 떠올려 보라. 
그리고 자전거를 그려보라, 당신은 어디까지 그릴 수 있는가? 
자전거의 구성을 바로 알고 모르는 일은 자전거를 잘 타는 숙련자와 자전거 초보자의 차이다
 사람들에게 자전거를 그려보라고 하면 제일 먼저 그리는 것이 아마 앞뒤 두 바퀴일 것이다. 그 밖에도 평행사변형의 프레임과 페달, 체인을 떠올리곤 한다. 독자들은 처음부터 ‘웬 그림 그리는 이야기를 하나’ 할 수도 있겠다. 그렇지만 이제부터 할 이야기가 바로 머릿속에 자전거를 잘 그려 넣는 것에 관한 것이기 때문이다.
 자전거를 잘 그리는 일이 자전거를 타는데 그리 대수겠는가. 하지만 이렇게 생각해 보자. 자전거를 잘 머리에 그려 넣는다는 것은 자전거를 이해하는 것이다. 그리고 잘 이해한 사람은 잘 탈 수도 있다. 또, 이 초보자 코너의 기사를 하나하나 접할 때마다 무엇에 관해 말하고 있는지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다가 이런 이야기가 시시껄렁하게 들릴 때쯤이면 당신은 이미 자전거를 아주 잘 알고 타는 숙련된 라이더가 되어 있을지도 모른다.  
 각설하고 정말 자전거의 어디가 앞이고 어디가 뒤인지 알기만하면 알아들을 수 있는 것부터 시작하겠다. 아울러 이번 내용에서는 자전거를 이루는 큰 구성에 대해서만 간략히 구분하고 이후 연재에서 몇 회 동안은 이 본문에서 언급 것들의 구체적인 내용을 다루도록 하겠다.

자전거의 방향

 자전거의 방향은 사람이 탑승했을 때와 자전거에서 내려서 볼 때 등등, 그 방향의 기준이 모호할 때가 많다. 따라서 다른 이에게 자전거의 방향을 설명할 때는 구동(동력전달)계 부품이 있는 방향과 그 반대방향으로 지칭한다.

드라이브사이드(Drive Side) 

체인과 앞뒤 기어, 디레일러(변속기) 등 구동부품이 장착된 방향을 ‘드라이브사이드’. 즉, 구동부품이 있는 방향을 이르는 말이다. 자전거를 탔을 때 오른쪽이 된다.
01_드라이브사이드.jpg

논 드라이브사이드(Non-Drive Side) 

논 드라이브사이드는 드라이브사이드의 반대쪽을 이르는 말이다. 뜻 그대로 구동부품이 없는 방향을 말하는 것이며 자전거 탑승 시 왼쪽이다. 
02_논드라이브사이드.jpg

자전거 6대 구성요소 

 자전거는 크게 6가지 부위로 나눌 수 있다. 이 6가지 요소는 사람들이 수레바퀴를 고안해낸 이후 계속 고민했던 것이다. 그리고 자전거에서의 이 고민들은 우리가 일상에서 이용하고 있는 자동차에게까지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프레임(Frame) 

  자전거를 이루는 차체를 말한다. 평행사변형의 자전거 프레임은 자전거를 타지 않는 사람에게도 각인되어 있을 정도다. 겉보기에는 앙상한 뼈대 같지만 ‘자전거 그 자체’라고 할 수 있을 정도로 프레임에 따라 자전거의 특성은 바뀐다. 
03_1_frame.jpg

조향부(Steerer) 

  핸들바와 포크 등으로 이루어졌으며 앞바퀴를 좌우로 틀어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되어있다. 어린이용 세발자전거부터 봐왔기에 아주 간단해 보이지만 간단한 원리 안에 아주 중요한 것들이 숨겨져 있다. 
03_2.jpg

안장, 시트포스트(Saddle & Seatpost) 

  안장과 시트포스트는 자동차나 비행기로 말하면 조종석이다. 기계미(器械美)가 아주 뛰어난 타임트라이얼 바이크(도로독주경기용 자전거)에서는 실제로 비행기 조종석을 뜻하는 칵핏(Cockpit, 안장부터 핸들바까지를 함께 이름)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냥 고정된 좌석이지만 자전거 추진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부위다. 
03_3.jpg

구동부(Drivetrain) 

  페달과 체인으로 인식되는 자전거 추진의 중추다. 사람이 발로 밟는 힘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자전거를 앞으로 나가게 하는 역할을 한다. 19세기 중반 미쇼(자전거에 페달을 처음 장착한 프랑스의 장인)의 자전거 앞바퀴에 페달이 달렸을 때 사람들은 신기한 구경거리인 줄 알았을 것이다.
허나 불과 30년도 지나지 않아 자전거에 지금과 같은 페달 크랭크와 체인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시스템이 등장했다. 그리고 20세기에 들어서자마자 사람들은 자전거를 타고 말이 질주하는 속도로 달리게 됐다. 
03_4_train.jpg

변속부(Gear-shifting system) 

자전거의 주행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이고 다양한 지형에서 꾸준한 동력전달이 가능하게 하는 충신들이다. 체인을 톱니장치에 이리저리 옮기는 조악한 부품들일지도 모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전거 부품사들은 자고 일어나면 새로운 퍼포먼스의 변속부를 우리에게 내놓고 있다.
03_5_gear.jpg

제동부(Brake) 

  자전거 속도가 높아질수록 브레이크의 성능도 함께 높아져 왔다. 산악자전거처럼 험한 지형을 고속으로 달릴 수 있는 자전거는 자동차에 쓰이는 브레이크와 별반 다르지 않거나 또는 오히려 더 높은 효율의 브레이크를 쓴다. 하지만 오늘날의 자전거 전체로 보면 브레이크는 머리는 21세기, 꼬리는 19세기에 걸쳐있는 실로 허리가 긴 괴물이다.
03_6_Brake.jpg

Sponsor

More Bike, Merida

최신기사

MET 포가챠 블랙/옐로우 에디션

MET(메트)의 경량 헬멧 트렌타 3K 카본 밉스(Trenta 3K Carbon MIPS)와 에어로 헬멧 만타 밉스(Manta MIPS) 두 모델에는 특별한 컬러가 칠해진 리미티드 에디션이 있다. 무광 블랙에 골드로 액센트를 준 포가챠 블랙 에디션 그리고 포가챠의 투르 드 프랑스 종합우승과 그의 소속팀 UAE 에미레이트의 2024 투르 드 프랑스 팀 종합우승을 기념한 옐로우 에디션이다.

자이언트 컨텐드 에어로 출시

자이언트가 알루미늄 로드바이크 컨텐드(Contend) 라인업에 공기역학성능을 부여한 컨텐드 에어로를 추가했다.

자이언트 트리니티 어드밴스 SL

자이언트의 스피드 머신, 트리니티(Trinity)가 새로운 모습으로 등장했다. 동일한 프레임에 셋업을 다르게 하는 방법으로 타임 트라이얼과 트라애슬론 버전으로 구분되며, 자이언트 카본 프레임 소재 중 가장 가벼운 어드밴스 SL 카본을 사용해서 이전 모델 대비 프레임 세트에서만 558g을 덜어냈고, 디스크 브레이크를 채용으로 강력하면서 일관된 제동력을 확보했다.
산타 크루즈 - 오디바이크
MERIDA. MORE BIKE
Scott The all-new RANS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