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글 임성수
사진 신용윤
MR1s DB는 디스크브레이크를 단 데어바이크의 올라운드 모델이다. 데어바이크의 핵심전력이며, 사용자 커스텀이 가능해 프레임 컬러와 로고 그리고 마감제의 광택 유무를 선택할 수 있다.

MR1s DB는 올라운드 모델로 데어바이크의 핵심전력이다.
유럽 기술력을 밑거름으로 성장한 회사
대만에는 유럽과 미국의 유명 자전거를 생산하는 제조업체가 상당하다. 자이언트와 메리다가 대표적이며, 이번 시승의 주인공인 데어바이크 역시 유럽의 유명 브랜드 자전거를 OEM 생산하며 성장한 업체다.
제조업체에서 자사 브랜드를 만드는 것은 몇 가지 이점이 있는데, 해외 유명 브랜드와 공동 연구개발을 통해 기술력을 확보할 수 있고, 그 기술력을 바탕으로 자사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린다는 것이 어려운 일이지만 기존 판로를 이용한다면 그만큼 리스크를 줄일 수 있다.
데어바이크는 2011년 설립됐다. 설립 당시 대만과 중국, 유럽 시장을 염두해두고 마케팅을 펼쳤으며, 온라인을 통한 직판매 시스템을 구축해 세계 시장의 문을 두드렸다. 2013년부터는 유럽과 일본의 컨티넨털 팀을 후원해 자사 기술력을 알렸으며, 현재 스페인의 컨티넨털 팀인 데어 비아토르 파르티잔(Dare Viator Partizan)과 노르웨이 컨티넨털 팀인 우노 엑스 디벨롭먼트 팀(Uno-X Development Team)을 후원하고 있다.

데어바이크는 유럽의 유명 브랜드 제품을 OEM 생산했으며, 2011년부터 자사 브랜드 ‘데어’를 런칭해 세계 자전거 시장에서 입지를 다져가고 있다.

데어는 프레임 뿐만 아니라 자사 완성차에 사용할 카본 컴포넌트도 생산하고 있다. 시승차에는 데어 팀 시트포스트가 장착됐다.
데어바이크는 프레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컴포넌트도 생산하고 있으며, 온라인으로 프레임 컬러와 로고 등을 선택해 라이더의 취향에 맞는 커스텀 바이크를 만들 수 있다.

MR1s DB는 MR1s의 디스크브레이크 모델이다.
데어의 핵심 모델 MR1s
MR1s는 데어바이크의 올라운드 모델로 DB는 MR1s의 디스크브레이크 버전이다. MR1s와 차이점이라면 포크와 체인스테이 튜빙이 다르다.
MR1s DB 프레임은 일본 토레이와 협업해 개발한 카본 소재를 사용했다. 데어는 이 소재를 ‘Multiple Synthetic Hot-Melted Carbon(MSHMC)’라고 부르는데 각각 각도가 다른 9장의 카본을 레이업한다. MSHMC는 일반 카본 적층 방식보다 더 많은 카본 섬유를 사용하지만 단위 면적 대비 무게가 가벼워 일반 카본 프레임보다 더 가벼운 무게를 자랑한다. 또한 필요한 강성과 탄성을 갖추기 위해 높은 인장력을 지닌 T시리즈 카본과 고탄성 M시리즈 카본 섬유를 결합해 내구성과 강성 모두 탁월하다. MR1s DB의 프레임 무게는 54(M)사이즈 기준 850g이다.

데어프레임은 일본 토레이와 협업해 만든 MSHMC 카본을 사용했다.
MSHMC 카본은 서로 방향이 다른 카본 원단 9장을 적층해 만드는데, 일반 카본 프레임에 비해 더 많은 카본 원단이 사용되지만 단위 면적당 무게가 가벼워 내구성과 강성을 높이면서도 감량 효과도 얻을 수 있었다고.

탑튜브는 시트튜브와 만나면서 양갈래로 나눠지는데 데어는 이 부분을 컴포트 채널이라고 말한다. 양갈래 설계는 측면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키면서 수직 변형율은 높여 승차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컴포트 채널 부분은 영국 시그마텍스의 FAC 카본이 사용됐다. FAC 카본은 높은 인장 계수를 지닌 특수 카본으로 충격흡수에 효과적이다. FAC 카본 질감은 물고기 비늘 문양으로 데어는 이부분을 노출시켜 마무리했다.
MR1s 프레임의 백미는 시트튜브와 탑튜브가 만나는 지점이다. 탑튜브는 시트튜브 앞에서 양갈래로 갈라져 시트스테이와 이어진다. 데어는 이 부분을 컴포트 채널이라고 부르는데, 측면 비틀림 강성을 향상시키고, 수직 변형율을 높여 승차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또한 데어는 이 부분에 프레임과 다른 FAC(Flake Armor Carbon Fiber) 카본을 사용했는데, FAC 카본은 영국 시그마텍스에서 개발한 높은 인장 계수의 고강도 특수 카본으로 승차감 향상에 도움을 준다. FAC 카본은 물고기 비늘 문양으로 데어는 이 부분을 노출해 MR1s의 디자인 포인트로 만들었다.

포크와 헤드튜브는 통합 설계(WBI)로 만들어졌다. 포크에서 다운튜브로 이어지는 굴곡진 형태는 와류를 줄이기 위한 구조다.
포크와 헤드튜브는 윈드블레이드 통합(WBI) 설계로 제작됐다. WBI는 포크와 헤드 튜브 몰딩을 통합해 설계한 것으로 와류 발생을 줄이고, 측면강성을 높이기 위한 기술이다.
편안함을 중시한 올라운드 프레임

MR1s DB는 편안한 승차감을 가진 올라운드 모델이다.

커스텀 주문이 가능한 시스템, 마이 데어


데어 엠버서더 활동으로 데어바이크를 알았고, 데어 MR1s와 2018년 시즌을 함께 했다.

양평 명달리 고개에서 만난 헤어핀에서 MR1s의 성능이 빛났다. 다운힐에서 코너링은 더 과감한 자세를 취할 수 있었고, 포크와 리어스테이가 주는 든든함은 안정적인 성능을 보장해, 다시 속도를 붙이기도 수월했다.

이창규 씨는 MR1s를 두고 디자인이 예쁜 자전거라고 말한다.
